목양칼럼 3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목양칼럼

Total 218건 31 페이지
  • 38
    기독교 교단설교 5: 감리교회 Publish on February 26,2011홍삼열
    “감리교회(Methodist Church)" (빌립보서 2:12-16)1992년에 출품된 "A River Runs through It" (강은 그곳을 통해 흐른다)는 영화가 있다. 이 영화에 나오는 대화중 감리교인에 대해 설명하는 아주 흥미로운 부분이 있는데, 주인공의 형인 Norman이 장로교 목사인 자기 아버지를 회상하면서, 아버지가 감리교인에 대한 이런 평가를 내리는 것을 떠올렸다. “얘야, 감리교인이 누군줄 아느냐? 감리교인은 글을 읽을 줄 아는 침례교인(Baptists who could read)이란다. 이것이 얼마나 정확한 표현인지는 모르겠다. 왜냐하면 요즘 감리교인들보다 훨씬 더 똑똑한 침례교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표현은 적어도 사람들이 감리교회에 대해 가지는 기본 인상을 말해주는 것이다. 사람들은 감리교회를 이성적이고 상식적인 교회로 알고 있는 것이다.감리교회와 침례교회는 상당 부분 비슷하다. 예를 들어, 이 두 교단은 교회에서 평신도의 역할을 강조하여 그들의 위상을 높이고, 성경을 신앙의 가장 중요한 표준으로 알고 따르며, 미국선교의 초창기에 부흥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급속한 교회부흥을 일으킨 교단들이다. 그러나 차이점도 많이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침례교인들은 성경을 신앙의 유일한 권위로 생각하여, 성경에 있는 것은 하고 없는 것은 절대 하면 안 된다는 문자주의적 입장을 고수하는데 반해, 우리 감리교인들은 성서의 권위 아래에 이성과 전통과 경험의 역할을 존중하며, 균형있는 신앙생활을 강조한다. 이런 감리교회의 특징은 초기 영국의 감리교회 운동에서 이미 발견되고 있는데, 18세기 영국에서 감리교 운동을 시작한 존 웨슬레는 신앙의 합리성을 존중하던 사람이었다. 그가 태어나기 전 세대, 즉 17세기 유럽의 모습을 한 마디로 표현하자면, 유럽은 종교전쟁으로 쑥대밭이 되어 버린 상태였다. 특히 30년 전쟁으로 인해 유럽의 거의 모든 나라들이 종교문제 때문에 양쪽으로 갈리어 치열한 전쟁을 벌였다. 처음에는 가톨릭을 신봉하는 프랑스와 개신교 종교개혁을 지지하는 독일이 싸움을 시작했지만, 이 싸움이 곧 유럽 전역으로 퍼져서, 유럽 전체가 30년에 걸쳐 서로 싸우는 바람에, 대규모의 희생을 치렀다. 이 전쟁의 피해가 얼마나 엄청났던지, 당시 유럽 전체 인구의 1/3이 죽었다고 한다.이런 전쟁의 피해를 겪고 나자, 사람들은 종교적인 이유로 전쟁을 하게 되면 끝이 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싸우는 양쪽이 모두 망할 지경이 되지 않으면, 절대 전쟁이 끝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래서 종교전쟁에 진절머리가 난 유럽인들은 이제부터는 이성적으로 생각하고 상식적으로 생각해서, 종교 때문에 싸우는 일은 절대 하지 않기로 서로 협정을 맺었다. 그것이 1648년에 체결된 웨스트팔리아 조약이다. 존 웨슬레는 이런 전쟁이 끝난 다음 세대, 즉 이성을 존중하는 18세기의 사람이다. 18세기의 특징은 그래서 종교적 관용과 이성과 상식을 중요시하고, 이성에 반대되는 광신을 경계시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때 많은 철학자들이 등장하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칸트나 흄이나 헤겔 같은 사람들이 이 이성의 시대에 활동하던 사람들이다. 이런 시대적 분위기에서 자란 웨슬레는 자연히 신앙에서 이성의 역할을 존중하였고, 상식을 무시하는 광신의 형태를 경계했던 것이다. 또 하나 웨슬레가 이성을 존중하게 된 배경은, 그가 자란 성공회 전통 때문이었다. 제가 지난번에 언급한 대로, 영국 성공회는 신앙의 세 가지 주요 원리들이 있었다. 그것은 성서와 이성과 전통이었다. 웨슬레는 영국 성공회에서 자라서 성공회 신부가 된 사람이기 때문에, 당연히 그 세 가지 신앙의 원리들을 중요시 여겼고, 성경을 읽거나 신앙의 문제들을 해결할 때, 성서와 전통과 이성의 원리를 조화롭게 적용하였다.그러나 그는 이런 성공회의 전통에 만족하지 못했다. 왜냐하면 당시 성공회는 너무 이성주의로 빠져서, 개인적인 신비체험을 교회에서 몰아냈기 때문이었다. 웨슬레는 신앙생활에서 개인적인 체험을 무시하면, 신앙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를 잃는 것이라고 생각하여, 위의 세 가지 성공회 원리에 "경험"을 덧붙여서, 4가지 신앙의 원리를 제시하게 된 것이다. 그래서 감리교회는 성공회 전통에 따라 성서와 이성과 전통을 중요시하지만, 그것에 머무르지 않고, 개인의 체험을 동시에 중요시해서, 감리교의 독특한 4개의 신앙의 원리를 확립하게 된 것이다. 그것이 바로 성서와 전통과 이성과 경험의 4가지 원리이다.존 웨슬레가 이렇게 경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그가 런던의 Aldersgate 가에 있는 어느 모라비안 교회에 들어가서 예배를 드릴 때 성령을 체험한 사건이었다. 그 때가 수요일 밤이었는데, 그 교회에는 마침 목사가 없어서, 어느 평신도가 루터가 쓴 로마서주석의 서문을 읽고 있었는데, 그것이 웨슬레가 성령을 체험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던 것이다. 루터가 평생 외쳤던 진리는, 우리는 행위로 구원받는 것이 아니라, 믿음으로, 그리고 하나님의 은혜로 구원받는다는 것이었다. 웨슬레는 이 원리를 이미 잘 알고 있었고, 그 원리에 철저히 동의하고 있었다. 그는 이미 성공회의 신부였고,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약을 가르치던 교수였다. 당연히 루터의 칭의의 교리, 즉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교리를 너무나 잘 알고 있었다. 그런데 그의 문제는 무엇이었나? 문제는 이것을 머리로만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의 머리에 있는 지식이 가슴에까지 내려오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그는 구원에 대해서 잘 알고 있었지만, 그의 가슴으로는 그것을 몰랐고, 그래서 그의 삶에는 전혀 구원의 확신이 없었던 것이다.그러나 그가 루터의 로마서주석 서문을 읽는 것을 들었을 때, 그는 난생 처음으로 구원의 지식이 그의 가슴으로 내려와서, 구원의 확신을 얻게 된 것이다. 그는 이때의 경험을 이렇게 일기에 적어놓았다. "저녁 8시 45분경, 하나님이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의 마음에 변화를 일으키신다는 것을 들었을 때, 나는 나의 마음이 이상스럽게 뜨거워짐을 느꼈다. 나는 오직 그리스도만이 나의 구주이심을 믿는 믿음이 생겼다. 그리고 그가 내 죄, 나 자신의 죄를 가져가시고, 죄와 사망의 법에서 나를 구원하셨다는 확신을 얻었다."이 경험을 통해 웨슬레는 완전히 다른 사람이 되었다. 그의 삶은 구원의 기쁨이 넘치는 삶이 되었으며, 이제부터는 아주 열정적으로 설교하는 사람이 되었다. 그러나 그가 사회에서 소외받는 사람들에게 관심을 가지며 그들을 돕는 생활을 하던 것에는 전혀 변화가 없었다. 예전과 다름없이 그는 계속 감옥을 심방하고, 병든 사람들을 돕고, 노예제도를 금하는 설교를 했다. 그는 계속 사회의 빛과 소금이 되는 모범 기독교인이었다. 따라서 이 올더스게이트에서의 경험이, 우리가 보통 말하는 "회심의 경험"이라고 말하는 것은 옳지 않다. 왜냐하면 그는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고 주님을 따르기로 결심했을 뿐만 아니라, 이때까지 계속 주님을 위해 최선을 다해 사는 모범적인 삶을 살았기 때문이다. 그는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이미 모범 기독교인이었고 훌륭한 신자였다. 그러나 그에게 없는 것이 하나 있었는데, 그것은 구원의 확신이었다. 그가 오랫동안 목사생활을 했어도 이것이 없었던 것이다. 그러니 그의 사역에 열매가 없었던 것이 당연한 것이었다. 그런데 웨슬레가 이 수요일 밤에 성령을 체험하고 나서는, 그에게 구원의 확신이 생겼고, 그는 이제부터는 좋은 기독교인의 수준을 넘어서, 온전한 기독교인이 되었던 것이다. 100% 완전히 기독교인이 된 것이다. 그리고 이 성령체험을 통해, 웨슬레는 감리교회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영국 사회와 미국 사회를 복음으로 변화시키는 대단한 일을 하게 된 것이다. 이제 웨슬레에 대한 이야기는 그만 하고, 감리교회의 특징들을 살펴보자. 여러 가지 특징들 중에 세 가지를 말씀드릴 수 있는데, 첫째는 평신도에게 설교권을 준다는 것이고, 둘째는 Wesleyan Quadrilateral이라고 불리는 4중 신앙의 원리를 가르치고 있다는 것이고, 셋째는 칭의와 성화를 함께 강조한다는 점이다.첫 번째부터 살펴보자. 감리교회는 평신도에게 설교권을 준다. 현재 지구상에 있는 많은 교단들 중, 평신도에게 설교권을 주고 그들이 교회를 치리하게 하는 교단은 두 개밖에 없다. 침례교회와 감리교회만 그것을 허락한다. 침례교회는 당연히 평신도에게 설교권과 치리권을 준다. 왜냐하면 침례교회는 원래 개교회 중심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개 교회가 각자 설교자를 선택할 권리가 있어서, 대부분의 경우 자기 교인들 중에서 설교와 목회의 은사가 있는 사람을 설교자로 선택해서 목회를 맡기기 때문이다. 그런 고로 침례교회에서는 신학교를 나와야지 목사가 된다는 원칙이 없다. 설교와 목회의 은사가 있는 평신도면 누구나 목사가 될 수 있다. 신학교육은 일단 목사가 된 후에 받아도 되는 것이다. 한편 감리교회에는 평신도 설교자를 이용하여 전도하고 교회를 세우는 전통이 웨슬레 시대부터 있었다. 웨슬레가 영국에서 감리교운동을 시작했을 때, 교회를 운영하는 기본 방법이 속회제도였는데, 이 속회제도를 통해 평신도 설교자들이 배출되었던 것이다. 당시 속회제도에서는, 모든 교인은 매주 속회에 참여해야 했고, 속장은 요즘 목사가 하는 일, 즉 설교와 심방과 상담의 일을 도맡아 했다. 이런 이유로 감리교회에서는 초창기부터 평신도 설교자들이 활동했고, 현재 연합감리교회에서도 이 제도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그래서 정식 full time 목사를 가질 수 없는 교회에서는 평신도 설교자가 파송되어 그곳에서 목회를 하게 하고, 목사가 있는 교회에서도 기회가 있을 때마다 평신도에게 설교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 이런 취지로 우리 감리교회에서는 목사가 출타하게 되는 경우, 장로님들이나 권사님들이 설교를 할 수 있는 것이다.이런 평신도 설교제도는 아주 효과적인데, 그 대표적인 예가 19세기 초 미국이 서부개척을 할 때 이 제도가 전도의 주요 도구로 사용된 예이다. 사람들이 동부에서 중부로 그리고 서부로 계속 진출을 할 때, 주요 기독교 교단들은 이들을 따라가지 못했다. 왜냐하면 갑자기 넓어진 영토를 담당할 성직자들의 수가 턱없이 모자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평신도 설교제도를 가지고 있는 침례교회와 감리교회만은 예외였다. 이 두 교단은 이들을 따라가면서 곳곳에 교회를 세울 수 있었다. 왜? 설교할 수 있는 평신도는 무궁무진했기 때문이다. 감리교와 침례교는 설교와 목회의 은사가 있는 평신도들을 발굴하여, 서부로 이동하는 사람들을 따라다니며 교회를 개척하게 했다. 이런 이유로 미국 전역에, 심지어 사람들이 별로 살 것 같지 않은 산골에도 침례교회와 감리교회는 있지만, 다른 교단 교회들은 없는 이유가 바로 이 평신도 설교제도 때문이다.두 번째 감리교회의 특징은 웨슬리의 4중 신앙의 원리, Wesleyan Quadrilateral이다. Quadrilateral이란 수학에서 사용되는 단어로 "사변형"이란 말인데, 이것이 웨슬레의 4중 신앙의 원리에 적용된 것은 20세기 웨슬레 신학자인 Albert Outler박사에 의해서였다. 이 단어는 감리교가 귀중히 여기는 4가지 신앙의 권위들을 지칭하는 말인데, 그것은 곧 성서와 전통과 이성과 경험이다. 이 4중 신앙의 원리는 영국 성공회의 소위 “세발 달린 의자”의 개념의 연장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성공회에서 성서와 전통과 이성을 중요시하는 것에 더하여, 웨슬레는 개인의 경험을 중요시해서, 성공회의 3가지 원칙을 4가지로 확장시킨 것이다. 웨슬레가 성공회의 3가지 원칙에 만족하지 않고 경험을 첨가한 이유는, 아무리 우리가 이성적으로 깨달은 것이 있다고 해도, 아무리 성경말씀을 많이 알고 아무리 교회전통을 많이 알고 있다고 해도, 내가 직접 하나님을 경험하지 않으면, 그런 것들이 다 소용없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그런 것들이 지식의 차원에 머물면, 실생활에 아무 소용이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웨슬레는 성서와 이성과 전통에 못지않게, 개인의 신앙체험을 중요시 여기는 것이다.자 이제 이 4중 복음의 원리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간단한 예를 들어 설명드리겠다. 우리가 유아세례를 행해야 하냐 하지 말아야 하냐고 물어볼 때, 우리 감리교인들은 위의 4가지 원리를 하나씩 적용한다. 첫째는 성경이다. 성경이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 성경을 보니까, 명확히 시행하라거나 시행하지 말라거나 가부간에 전혀 언급이 없다. 우리 감리교회 측에서 생각할 때, 유아세례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성경구절들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침례교회에서는 그것을 부정하니, 성경만으로는 판결이 나지 않는 것이다. 그래서 두 번째 원리를 적용하는데, 그것이 전통의 원리이다. 우리가 교회 전통을 살펴보면, 초대교회 때부터 유아세례를 시행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초대교회는 사실 유아세례를 허용한 것뿐만 아니라, 반드시 유아세례를 시행해야 한다고 가르쳤다. 그러면 이성의 입장에서 볼 때는 어떤 결론이 나오는가? 세례가 죄사함의 은총과 하나님의 구원의 은총을 받는 중요한 수단이라면, 그런 은총은 어른에게만 아니라 당연히 아이들에게도 주어져야 하는 것이 합리적인 생각이다. 그것이 공평한 것이다. 어른에게 필요한 구원의 은총이 어찌 아이들에게는 필요하지 않단 말인가? 마지막으로 우리의 경험은 어떻게 말하는가? 경험상 우리는 아이들이 세례받는 것이 좋다는 것을 안다. 왜냐하면 아이들이 세례를 받으면, 우리는 의식적으로, 또 무의식적으로 그 아이들을 주님의 말씀 안에서 기르게 될 확률이 더 많아지고, 아이들은 교회에서 꾸준히 기독교 교육을 받게 되므로, 하나님의 거룩한 자녀로 성장하게 되는 것이다. 자 이렇게 4가지 원리에 비추어 생각해 볼 때, 우리의 결론은 무엇인가? 우리 감리교회는 유아세례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유아세례는 성서적이고, 이성과 전통과 경험의 원리에 부합하기 때문이다.자 이제 감리교회의 세 번째 특징으로 넘어가자. 감리교회는 칭의와 성화, 즉 믿음으로 의롭다고 인정되는 것(justification)과 실제로 거룩하게 되는 것(sanctification)을 동시에 강조한다. 무엇이 가장 좋은 기독교의 형태인가에 대해서는 역사적으로 두 가지 입장이 있어 왔다. 하나는 칭의를 강조하는 것이다. 구원을 받기 위해서는 선한 행위를 하는 것보다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바로잡는 것, 그래서 하나님으로부터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루터교에서 이런 입장을 견지하는데, 이들은 사람이 구원받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믿음이고, 그밖에 다른 것은 전혀 소용이 없다고 말한다. 사람의 행위가 좋건 나쁘건 상관없이 예수를 믿는 믿음만 있으면 구원받는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구원은 칭의, 즉 의롭다고 인정받는 것이지, 진짜 우리가 의롭게 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반면에 가톨릭 쪽에서는 이런 식으로 칭의만 강조하면, 사람이 도덕 불감증에 빠지고 개인적인 책임을 회피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사람이 믿음으로만 구원받는 것이라면, 꼭 선하게 살 필요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톨릭에서 주장하는 것은 사랑없는 믿음은 가짜이고, 선행이 따르지 않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에 이르기까지 매일매일 거룩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가톨릭에서 말하는 성화의 교리이다.그러면 우리 감리교는 어떤 입장을 취하는가? 우리는 칭의와 성화 둘 다 믿는다. 칭의가 옳으냐 성화가 옳으냐고 따지지 않고, 둘 다 중요하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예수님은 율법을 폐하러 오신 것이 아니라 완성하러 오셨다고 말씀하셨기 때문이다. 그리고 예수님은 우리 안에 깨어진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시키러 오셨는데, 이 회복의 과정은 칭의의 은총과 더불어 성화의 은총도 함께 있어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우리를 용서하시고 우리에게 하늘의 평안을 허락하시는 칭의의 은총과 더불어, 우리가 매일 매일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을 향하여 거룩해지는 성화의 은총이 있어야,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을 회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 읽으신 본문 말씀 빌립보서 2:12절에 보면, 한번 칭의의 은총을 받아 구원받은 것에 안심하지 말고, 항상 복종하여 두렵고 떨림으로 구원을 계속 완성시켜 가라고 말씀하는 것이다. 우리 감리교회에서는 이렇게 칭의와 성화를 모두 강조하는데, 물론 이렇게 하는 것은 칭의나 성화 한쪽에만 신경쓰는 것보다 훨씬 더 어렵다. 왜냐하면 이 둘 사이에 균형을 잡으면서 중도노선을 걷는 것은 양쪽으로부터 공격받을 가능성이 많기 때문이다. 그러나 우리는 그 둘 사이에 균형을 잡는 것이, 성경의 가르침을 반영하고, 또 실제로 이 세상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왜냐하면 어떤 살아있는 유기체든지, 그것이 생물이든지 교회와 같은 단체이 든지, 두 극단 사이에 균형을 잡고 있어야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쪽으로 기울어져서 균형이 깨어지면, 유기체는 병들게 되거나 무너지게 되어 있는 것이다.우리 감리교회에서는 그래서 균형을 대단히 중요시 여긴다.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기 위해 대단히 노력을 많이 한다. 그래서 감리교회 안에는, 칭의를 강조하는 보수주의자들도 있고, 성화를 강조하는 진보주의자들도 있고; 영혼구원을 강조하는 전도파도 있고, 사회구원을 강조하는 사회운동가도 있고; 또 개인의 믿음을 중요시하는 기도의 일꾼들도 있고, 거룩한 사회를 건설하려는 정치가들도 있는 것이다. 저는 이점이 감리교회의 아름다움이라고 생각한다. 다양한 사상과 입장을 모두 포용해서, 균형있는 신앙생활을 하게 하는 교단, 이것이 감리교단인 것이다.오늘 우리는 감리교회의 세 가지 특징을 살펴보았다. 1) 감리교회는 평신도 설교운동을 지지하면서, 평신도의 위상을 높인다. 2) 감리교회는 웨슬레의 4중 신앙의 원리를 받아들여서, 신앙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다. 3) 감리교회는 칭의와 성화를 모두 강조함으로써, 믿음과 행위가 언제나 함께 가야 한다는 것을 가르친다. 산타클라라 교우 여러분, 이런 감리교회의 특징들을 잘 기억하시고 잘 실행하셔서, 보다 나은 감리교인, 보다 나은 주님의 제자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드린다.
    Read More
  • 37
    Christian Denominations 4: Baptist Church Publish on February 22,2011홍삼열
    Baptist Church (Romans 14:8-12)   On January 21, 1525, those who called themselves “Brethren” had a secret meeting at the house of Felix Manz in Zürich, Switzerland. These people had originally been attracted to and followed the lead of the Swiss reformer, Ulrich Zwingli, but it was not long before they realized that Zwingli did not want to go as far as they expected him to in reforming the church. Instead, his plans for reform seemed to be too much compromised with the agenda of the city council. Since the city of Zürich needed to prepare itself for the possible attack from the Catholic forces in neighboring cantons, and this preparation should necessarily involve not only politics and military strategies but also religion, the city council actively intervened in church matters and dominated the Protestant reformation in Zürich.   But according to the belief of these Swiss Brethren, the secular state should not intervene in church matters in such a way. There should be a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And this different viewpoint came to cause a serious problem when the city council demanded every child to be baptized. The rationale for this demand was that a holy Christian city could be established only with a strong political backup and an enforcement of the right doctrine among its citizens. And since this holy Christian city should include not only adults but also children as its members, the children should join this Christian city through Christian baptism, just like the case of Jewish children who underwent the ceremony of circumcision in the Old Testament times.   The Brethren, however, could not agree to this logic, because according to their understanding, the New Testament does not include any clear examples of infant baptism. All cases of baptism seemed to apply only to adults who publicly professed their faith in Jesus. But a close reading of the Bible reveals that there were some cases of infant baptism there. For example, when Lydia was converted by Paul’s preaching, her entire household was baptized (Acts 16:15). When the Philippian jailer whom Paul and Silas had converted to the faith was baptized, all his family was baptized (Acts 16:33). And in his greetings to the Corinthians, Paul recalled, saying "I did baptize also the household of Stephanas." (1 Cor. 1:16) In all these cases, whole households or families were baptized. This means more than just the spouse; the children too were included. Again when Peter urged people to repent and be baptized in the name of Jesus Christ, he promised that they would receive the gift of the Holy Spirit. (Acts 2:38) But he did not restrict this teaching to adults only. He added in the next verse, "The promise is to you and to your children and to all that are far off, every one whom the Lord our God calls to him."   Of course, the Brethren did not accept this kind of explanation. Their basic position was to accept only those clearly commanded or exemplified in the New Testament and reject anything that appeared to be "Catholic," so they refused to have their children baptized. If they had simply stopped there, probably the situation would not have become so tragic. But they did not only refuse their children to be baptized; ignoring their own infant baptism, they themselves re-baptized each other. By this they wanted to proclaim to the city council that their infant baptism was not valid because they had no capacity to speak for themselves. So George Blaurock, a former Catholic priest, requested Conrad Grebel, a lay person, to baptize him in the apostolic fashion, that is, upon confession of personal faith in Jesus Christ, instead of in the Catholic fashion of only one baptism in infancy. After Grebel baptized him, Blaurock proceeded to baptize all the others present, thus was born the Anabaptist movement, or literally Re-baptist movement. (By the way, at this time and for a while, their basic way of doing baptism was sprinkling or pouring of water instead of a full immersion method.) And when the city council learned about this rebaptism, those Brethren were arrested, imprisoned, and banished, and when they were found to continue this practice, they were arrested again and executed.   This episode, I think, already includes the three important marks of the Baptist tradition that would fully develop in later years: 1) the Bible as the sole authority of faith; 2) simplicity of its message and ritual; 3) focus on personal faith in Jesus.   Let me explain each of them. First, the Bible as the sole authority of faith. There is no Christian denomination on earth that would deny the prime authority of the Bible. If that were the case, it would not be called Christian. But among the different denominations of Christianity are noticed some variations about the secondary authorities of faith. In case of the Catholic Church, tradition is seen as having an authority equal to that of the Bible. In the Anglican Church, tradition and reason hold their special places below the Bible. Our Methodist Church emphasizes not only tradition and reason but also experience as secondary authorities. But the Baptist Church acknowledges only one authority, that is the Bible. Their typical attitude is that what you do not find in the Bible, you should not practice it or tell others to practice it.   Then, on what ground is such a prescription based? It is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inerrancy of the Bible. According to them, the Bible is God’s truth without any error because it is God-breath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most of the Baptist Christians take seriously each word of the Bible and believe it literally, and this is the reason why in many Baptist churches women are not allowed to be ordained or serve as senior pastors of a church, because 1 Corinthians 14:33 says "Women should remain silent in the churches. They are not allowed to speak, but must be in submission." We Methodists do not agree with this way of reading the Bible. Though we also believe that the Bible is God-inspired, when we talk about it we mean the content of the Bible rather than the individual letter; we mean its inner meaning rather than the outer literal meaning. So for right understanding of the Bible, we take considerations of not only the letter of the text but also its historical, literary, and cultural context, and focus on its authentic meaning which sometime goes beyond what the letter says.   In spite of our disagreement on this issue, however, there is one thing that the Baptist Christians should be proud of, something that we need to learn from them: they are avid learners of the Bible. They love to read the Word of God, study it, and memorize it. I think we need to take seriously the message of Psalm 119:105, "Thy word is a lamp unto my feet, and a light unto my path." I could even say: if one side effect of their doctrine of inerrancy is a rigid, literal way of understanding the Bible, a major side effect on our part is that we take such a liberal approach to the Bible that we fail to cherish it as the compass and guide of our daily life. So I want to encourage us Methodists to take our Bible seriously that we read it every day, meditate on it every day, and live our lives according to its teaching.   The second distinctive mark of the Baptist Church is the simplicity of its message and ritual. As I have briefly mentioned before, Baptist reformers have traditionally been more radical than other Protestant reformers. For they believed that anything that is not explicitly found in the Bible or anything appearing to be Catholic should be abandoned. So in the Baptist tradition, there is no high liturgy, no icons, no candles, no robes, even no reciting of the Lord’s Prayer during worship. Of course, they believe in the Lord’s Prayer; there is no doubt about it. But they prefer a simple order of worship which focuses on the reading and preaching of the Word of God.   To speak of the Baptist preaching, it is characterized by a simple message of salvation. It always presents clear steps towards it and demands a personal commitment to the Lord. The best example of this type is the preaching of Billy Graham. He may not be as poetic or rhetorical as the Anglican or Methodist preachers, but surely his message is powerful and makes people committed to Christ.   A typical Baptist message about salvation can be summarized into what they call the "four spiritual laws." The first law is that God loves us and offers a wonderful plan for our lives. The biblical verse supporting it is John 3:16, "God so loved the world that He gave His one and only Son, that whoever believes in Him shall not perish, but have eternal life." The second law is that we are sinful and separated from God, and thus, cannot naturally know and experience God’s love and plan for our lives. Romans 3:23 explains it: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The third law is that Jesus Christ is God’s only provision for our problem of sin, as Jesus himself said in John 14:6, "I am the way, and the truth, and the life; no one comes to the Father, but through me." But it is not enough just to know these three laws. The fourth law is absolutely necessary for us to be saved: the fourth law is that we should individually receive Jesus Christ as our Savior and Lord. Revelation 3:20 explains this truth: "Behold, I stand at the door and knock; if any one hears my voice and opens the door, I will come in to him."   We may think that this kind of message is too simple to be complete. It seems that salvation should involve a more elaborate process than this. But I should tell you this. Truth does not need to be complicated or difficult to be true; to the contrary, truth is often simple, and this simplicity has such great power of clear communication and exerts such immediate impact on people’s minds. And I think the Baptist message, the simple message of salvation, is one major impetus behind such a rapid growth of the Baptist denomination in this country.   Now let us turn to the third distinctive mark of the Baptist Church, a focus on personal faith in Jesus. According to Walter Shurden, a renowned Baptist scholar, the basic Baptist principles can be condensed into these four freedoms: Bible freedom, soul freedom, church freedom, and religious freedom. To briefly explain each of them, Bible freedom means that the individual is free to interpret the Bible for himself or herself. Soul freedom means that every person should come to faith not by the parents’ or the society’s decision, but only by his or her personal decision in response to God. Church freedom means that each local church should be free from any outside interference in terms of church governance, policies, worship, ordination of ministers, etc. And lastly, religious freedom means that the individual is free to choose whether to practice their religion, another religion, or no religion;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is often called the “civil corollary” of this religious freedom.   To summarize these four freedoms in one sentence, it would be like this: as far as the issue of faith and salvation is concerned, what matters most is the individual decision to follow Jesus. Neither the church hierarchy, nor tradition, nor the parents, nor the state can interfere in this matter. Only the individual person should make the decision. The scripture reading for today is one of their best used texts to support this position: "If we live, we live to the Lord; and if we die, we die to the Lord. So, whether we live or die, we belong to the Lord… You, then, why do you judge your brother? Or why do you look down on your brother? For we will all stand before God’s judgment seat. It is written: 'As surely as I live,' says the Lord, 'every knee will bow before me; every tongue will confess to God.' So then, each of us will give an account of himself to God."   In the Baptist tradition, there is no such thing as group salvation. If anyone is saved, he is saved not because of his great parents, friends or church, but only because of his personal faith in Jesus Christ. This personal factor being that critical, parents are expected to make every effort to help their children to meet Jesus and make personal decisions to follow him; friends are expected to diligently lead their friends to Christ and help them be saved; and every church member is encouraged, or even forced, to make their personal commitment to Christ and be saved. I think this is what we Methodists should learn from our Baptist friends. We are too often negligent of fulfilling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 "Go and make disciples of all nations." Let us not give our children or friends a wrong impression that unless they are really bad, God will somehow save them. Instead, let us challenge them to come to Christ, confess Him as their Savior and Lord, and make a personal decision to follow Him.
    Read More
  • 36
    기독교 교단설교 4: 침례교회 Publish on February 22,2011홍삼열
    “침례교회(Baptist Church)" (로마서 14:8-12)오늘은 교단설교 시리즈 4번째 시간으로 침례교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을 갖겠다. 침례교 하면 무엇이 생각나시는가? 제일 먼저 생각나는 것이 “침례”라는 단어일 것이다. 침례교에서는 세례라는 용어 대신에 침례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다른 교단에서 세례를 받은 사람들에게 다시 침례를 받으라고 하고, 유아세례를 인정하지 않는 것, 모두 침례에 관련된 사항들이 생각나실 것이다. 그런데 침례교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사실 침례가 아니라 정교분리 원칙이다. 국가는 종교의 문제에 대해서 절대 왈가왈부하거나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침례교의 역사를 보면, 1525년 1월 스위스의 쥬리히로 거슬러 올라가게 된다. 당시 쥬리히에는 "형제단" (Brethren)으로 불리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이들은 쥬리히 시의회가 종교문제 (특히 세례에 관한 문제)에 간섭하는 것에 정면도전하면서, 자기들끼리 세례를 베푸는 일을 감행하였다. 당시 쥬리히시는 모든 유아들에게 세례를 베풀라고 명령하였지만, 형제단 사람들은 유아세례를 비성서적이라고 공격하면서, 자신들의 아이들이 세례를 받지 못하게 하였고, 동시에 자신들이 이전에 받은 유아세례까지 부정하면서 자기들끼리 두 번째 세례를 베풀었다.스위스 형제단 사람들은 원래 츠빙글리의 장로교 개혁운동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러나 얼마 후에 츠빙글리가 개혁운동을 끝까지 밀고 나가지 않고 중간에 쥬리히 시의회와 타협해버렸다고 불만을 터뜨리면서, 츠빙글리에게서 떨어져나갔다. 요즘에도 그렇지만, 당시 스위스는 여러 캔톤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각 캔톤마다 자기의 종교를 결정할 수 있었다. 물론 원래는 스위스 전체가 가톨릭이었지만, 츠빙글리가 쥬리히를 중심으로 개신교 종교개혁을 시작하면서부터 다른 캔톤들도 개신교를 점차 받아들이게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가톨릭 측에서는 개신교의 확장을 저지하기 위해 전쟁을 계획하였다. 당시 스위스 개신교 종교개혁의 중심지는 쥬리히였기 때문에, 쥬리히는 가톨릭 진영이 쳐들어오면 방어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고 있어야 했다. 그런데 이 방어준비는 정치적, 군사적 준비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준비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사실 쥬리히가 공격의 대상이 된 것이 쥬리히가 개신교 종교개혁 사상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쥬리히 시의회는 교회의 일이 곧 나라의 일이므로, 필연적으로 교회 일에 깊이 관여하게 된 것이다.그러나 스위스 형제단은 이런 시의회의 간섭이 철저히 비성서적인 것으로 보았다. 정치와 종교는 엄격하게 구분되어야 한다고 믿었다. 한동안은 이들이 이렇게 생각하고 있어도 별 문제가 없었는데, 급기야 이들이 시의회와 정면충돌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그것은 시의회가 쥬리히에 사는 모든 유아는 세례를 받아야 한다는 법을 발표한 사건이었다. 시의회가 이런 법을 발표한 이유는, 쥬리히는 장로고 개혁정신에 입각한 하나님의 거룩한 도시가 되어야 하는데,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유아세례가 꼭 필요하다는 논리였다. 왜냐하면 거룩한 도시를 구성하는 것은 어른들만이 아니라 당연히 아이들도 포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이들이 거룩한 도시에 가입하는 것은 세례를 통해 가입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것이다. 이는 마치 구약시대의 아이들이 할례예식을 통해 하나님의 백성이 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신약시대에는 세례예식을 통해서 아이들이 하나님의 백성이 된다고 믿었다.물론 스위스 형제단은 이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신약성경에 보면 어린아이가 세례를 받았다는 명백한 구절이 없기 때문이다. 신약성경에서 세례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모두 어른이 자신의 신앙고백을 한 후에 세례를 받는 경우들뿐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성경을 자세히 읽어보면, 이들의 주장과는 달리 유아세례의 경우들이 있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예를 들어, 바울의 설교로 루디아가 예수를 믿기 시작했을 때, 그녀의 온 가족이 함께 세례를 받았다고 되어 있다.(행 16:15) 옥에 갇힌 바울과 실라를 감시하던 간수가 예수믿고 세례를 받았을 때도, 그의 온 가족이 세례를 받았다고 되어 있다.(행 16:33) 그리고 바울이 고린도전서를 시작하면서, 자기가 스데바나의 가족에게 세례를 베풀었다고 말하고 있다.(고전 1:16) 이런 예들을 보면, 분명히 온 가족이 세례를 받았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부인이나 남편만 세례를 받았다고 이해해야 할까? 당연히 그렇지 않다. 그들뿐만 아니라 자녀들도 세례를 받았다고 보아야 하는 것이다. 자녀들이 세례를 받지 않았는데 어떻게 “온 가족이” 세례를 받았다고 말할 수 있단 말인가? 또한 사도행전 2:38절에 보면, 바울이 사람들에게 회개하고 예수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으라고 설교했는데, 그는 절대 이것을 어른들에게만 국한시키지 않았다. 아이들에게도 똑같이 적용시켰다. 행 2:38-39, “베드로가 가로되, 너희가 회개하여 각각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고 죄 사함을 얻으라. 그리하면 성령을 선물로 받으리니, 이 약속은 너희와 너희 자녀와 모든 먼데 사람, 곧 주 우리 하나님이 얼마든지 부르시는 자들에게 하신 것이라.”물론 스위스 형제단은 이런 설명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성경에 아이가 실제로 세례를 받았다는 명백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유아세례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유아세례는 성경에 근거를 둔 것이 아니고, 가톨릭교회가 자기 맘대로 만들어낸 전통에 불과하기 때문에,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만일 이들이 이렇게 주장하는 선에서만 끝났다면, 그들에게는 대규모의 비극은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자기 자녀들이 세례받는 것을 거부할 뿐만 아니라, 자기들이 이미 어릴 때 받았던 유아세례까지도 부정하며 자기들끼리 세례를 주고받았던 것이 비극의 시작이었다. 이들은 쥬리히 시의회에 단호한 메시지를 전달하기를 원했다. 스스로 신앙고백을 할 수 있는 사람만이 세례를 받을 수 있고, 유아는 그럴 만한 능력이 없기 때문에 세례를 받아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전달하기 위해, 이들은 자기들끼리 세례를 주고받았던 것이다. 우선 그 모임 중에 George Blaurock이라는 전직 가톨릭 신부가 있었는데, 그가 평신도인 Conrad Grebel 앞에서 예수 그리스도를 주님으로 고백하는 신앙고백을 하고나서 그에게 세례를 받았고, 그리고 그 다음에 자기가 그곳에 모인 다른 사람들에게 세례를 베풀었던 것이다. 이로써 소위 Anabaptist (재침례파) 운동이 시작되는데, ana라는 말은 “다시” “두 번째”라는 의미가 있다. (여기서 우리가 알아둘 점은, 재침례파 사람들은 자기들이 재침례를 행한다고는 말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어릴 때 받았던 세례는 세례가 아니고, 지금 어른이 되어서 받는 세례가 진짜니까, 자기들은 세례를 한 번 주는 것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알아둘 점은, 이 당시 그리고 이후 얼마간, 이 사람들이 세례를 주는 방법은 몸을 물에 완전히 담그는 방식이 아니라, 물을 머리에 뿌리거나 머리에 붓는 형식을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요즘같이 몸을 완전히 물에 담가야 진짜 세례라고 주장하는 것은 후대의 침례교에서 발전된 전통이다.) 시의회가 이 재침례의 소식을 들었을 때 어떻게 했는가? 형제단을 이단으로 정죄하고 그들을 모두 체포하여 옥에 가두었고, 그 다음에는 외지로 추방시켜버렸다. 그러나 그 후에도 그들이 그곳에서도 계속 재침례를 행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들을 다시 잡아들여서 처형시켜버렸다.이상 침례교운동의 시작에 대해 설명드렸는데, 이 설명 안에 침례교 전통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들이 담겨져 있는 것을 본다. 첫째가 성경을 신앙생활의 유일한 권위로 삼는다는 것이고, 둘째가 간단한 구원의 메시지와 단순한 의식을 따른다는 것이고, 셋째가 예수님과의 일대일의 개인적인 관계를 대단히 중요시한다는 것이다.이 세 가지 특징을 하나씩 살펴보겠다. 첫째로, 침례교회는 성경을 신앙생활의 유일한 권위로 삼는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기독교 교단 중, 성경을 신앙생활의 가장 중요한 권위로 인정하지 않는 교단은 하나도 없다. 만일 그것을 부인하면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면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성경 이외의 부수적인 권위들에 대해서는 교단들마다 차이가 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성서의 권위에 못지않은 권위가 하나 더 있다고 하는데, 그것이 교회전통이다. 가톨릭에서는, 비록 성서에는 나와 있지 않지만 교회전통이 진리로 선포하는 것은, 성서에서 선포하는 것과 동등한 권위를 지닌다고 주장한다. 마리아 승천설, 연옥설, 교황무오설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성공회에서는 성서가 가장 중요한 권위를 지니고 있지만, 성서가 해결해주지 못하는 부분들에서는 전통과 이성의 힘을 빌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우리 감리교회에서는 이 전통과 이성에 개인체험을 부가한다. 신앙생활의 지침이 되는 것은 성서와 전통과 이성뿐만 아니라, 나 자신이 예수 그리스도를 경험하는 개인체험도 신앙생활의 중요한 지침이 된다고 믿는다. 그래서 감리교회에서는 성서의 권위 밑에 부차적인 권위로서 이성과 전통과 체험을 이야기한다. 그러면 침례교회는 어떤 입장을 취하는가? 침례교회에서는 신앙생활의 권위는 오직 한 가지, 성서뿐이다. 성경에 명확하게 하라고 하는 것은 하고,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하지 않고, 성경에 분명한 예가 나온 것은 하고, 예가 없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입장이다.그러면 침례교회에서는 어떤 근거로 이런 입장을 고수하는가? 근거는 성서무오설이다. 성서무오설이란, 성서의 문자가 담고 있는 내용에 오류가 없다는 선을 넘어서, 글자 하나에 대해서까지 오류가 없다는 이론을 말한다. 침례교인들이 주장하는 것은, 성경은 하나님의 영인 성령의 감동으로 쓰인 책이기 때문에, 절대 오류가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글자 토씨 하나에도 하나님의 진리가 담겨있다는 것이다. 이런 믿음이 있기에, 침례교인들은 성경말씀을 대단히 귀중히 여기고, 성경을 문자적으로 읽는다. 문자적 성경읽기의 예를 들자면, 침례교회에서는 여자가 목사안수를 받지 못하게 한다. 아니면 목사 안수는 받아도 담임목사는 되지 못하고, 교육목사만 될 수 있게 한다. 왜냐하면 고린도전서 14:33절에 “모든 성도의 교회에서 함과 같이, 여자는 교회에서 잠잠하라. 저희의 말하는 것을 허락함이 없나니 율법에 이른 것 같이 오직 복종할 것이요”라고 했으니, 여자는 절대 교회에서 가르치는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우리 감리교회를 비롯한 다른 교단들은 이런 식의 문자적 해석에 동의하지 않는다. 우리도 성경이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된 책이라는 것을 믿지만, 우리가 성령의 감동에 대해 이야기할 때는, 성경의 내용을 가지고 말하는 것이지, 성경의 표면 문자를 가지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하나님이 주시고자 하는 메시지는 그 성경문자가 담고 있는 신령한 의미에서 찾아야지, 문자 자체에서 찾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 침례교회 이외의 교단들의 입장이다. 그래서 성경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본문의 문자에 집착하는 대신, 그 문자가 배경으로 하고 있는 역사와 문화와 문맥과 그 수준을 넘어선 영적인 의미에 집중을 해야 하는 것이다.그러나 이런 성서해석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침례교회에서 배워야 할 점이 한 가지 있다. 그것은 그들이 성경을 대단히 많이 읽고 자세히 공부한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성경구절들을 열심히 암송하고 그 말씀대로 살려고 노력한다. (침례교 어린이들에게도 이것이 중요한데, 어와나가 대표적인 예이다.) “주의 말씀은 내 발에 등이요 내 길에 빛이라”고 하는 시편 119:105절의 내용을 붙들고 그 말씀대로 살려고 부단히 애쓰는 모습이다. 비록 침례교인들이 성서무오설의 부작용으로, 너무 지나치게 성서를 문자적으로 읽는 경향이 있지만, 우리는 그 반대로 성서를 너무 비유적으로 읽고 성서의 문자를 등한시하여, 성경말씀이 매일 우리의 삶에 등불이 되고 실제 지침이 된다는 사실을 자주 망각하는 경향이 있는 것이다. 그래서 저는 감리교인들에게 성경을 매일의 삶의 지침으로 삼고, 매일 읽고 생활에 적용하라고 강력하게 권고드를 린다. 그리고 여러분들이 이렇게 하도록 돕기 위해 교회적으로 QT모임들을 하고 있다. 매일매일 하나님의 말씀을 읽고 그 말씀에 비추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그 말씀대로 살려고 부단히 노력하는 것, 이것이 우리가 침례교인들에게서 배울 점이다. 침례교회의 두 번째 특징은 간단한 메시지와 예식이다. 위에서 잠간 언급했듯이, 침례교 개혁가들은 다른 개신교 개혁가들보다 더 과격하다. 성경에 명백한 예가 없거나, 가톨릭적인 요소가 있는 것들은 절대 시행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취한다. 그래서 침례교 전통에서는 화려한 예식은 어디에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림도 없고, 촛불도 없고, 예복도 없고, 심지어 주기도문이나 사도신경도 외우지 않는다. 그들이 주기도문이나 사도신경을 믿지 않기 때문에 외우지 않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읽는 것과 말씀을 선포하는 것에 중점을 두기 위해 최대한 예배형식을 간단히 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이다.침례교 스타일의 설교에 대해 말하자면, 침례교 설교자들은 구원에 관한 간단한 메시지를 전하는 것을 좋아한다. 분명하게 명확하게 구원의 단계들을 설명하면서 개인적인 결단을 요구한다. 이런 종류의 설교를 하는 대표자가 빌리 그래함 목사님이다. 그는 성공회나 감리교 설교자들같이 시적이거나 수사학적인 설교는 하지 못하더라도, 그의 메시지는 간단하고도 강력하다. 많은 사람들을 주님께로 인도하는 힘이 있다.전형적인 침례교식 메시지는 보통 “사영리”로 불리는, 구원의 네 가지 원리로 요약될 수 있다. 첫 번째 원리는 하나님은 우리를 사랑하시고 우리를 구원하기 위해 놀라운 것을 준비하셨다는 것이다. 이것을 가르치는 대표적인 성경구절이 요한복음 3:16절이다. “하나님이 세상을 이처럼 사랑하사 독생자를 주셨으니, 이는 저를 믿는 자마다 멸망치 않고 영생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 둘째 원리는, 우리는 죄인이어서 우리 힘으로는 하나님의 사랑을 알 수도 없고 경험하지도 못한다는 것이다. 로마서 3:23절이 이를 설명한다. “모든 사람이 죄를 범하였으매 하나님의 영광에 이르지 못하더니...” 세 번째 원리는 이 죄의 문제를 해결하실 분은 오직 예수 그리스도 한 분이라는 것이다. 요한복음 14:6절이 그것을 설명한다. “예수께서 가라사대, 내가 곧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니, 나로 말미암지 않고는 아버지께로 올 자가 없느니라.” 그러나 이 세 가지 원리를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네 번째 원리를 알고 행해야 구원받게 되는데, 그것은 우리가 개인적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나의 주님으로 고백하고 영접하는 것이다. 계시록 3:20절이 그것을 설명한다. “볼찌어다 내가 문밖에 서서 두드리노니, 누구든지 내 음성을 듣고 문을 열면, 내가 그에게로 들어가 그로 더불어 먹고 그는 나로 더불어 먹으리라.” *이상을 간단하게 정리하면, 1) 하나님은 우리를 구원하실 계획이 있으시다. 2) 우리는 죄인이라 스스로 구원받을 가능성이 없다. 3) 예수님이 길과 진리와 생명이시다. 4) 이 예수님을 개인적으로 믿고 영접하면 구원받는다는 것이다.여러분들 중에 “이것이 구원받는 전체 단계야? 너무 간단하잖아?” 이렇게 생각하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다. 우리가 구원받기 위해서는 이보다 더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제가 분명히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진리는 꼭 복잡하거나 시행하기 어려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 반대로, 대개 진리는 간단한 것이고, 이 간단함이 확실한 의사전달을 가능케 해서, 사람들 마음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침례교의 메시지가 이런 간단명료함이 있고, 그런 이유 때문에 현대인들에게 큰 호응을 얻어서, 침례교회가 최근에 급속한 성장을 이룬 주요 요인 중에 하나라고 생각한다.자 이제 침례교의 세 번째 특징으로 넘어가보자. 침례교의 세 번째 특징은 그리스도와의 일대일의 개인적인 관계이다. 유명한 침례교 신학자인 Walter Shurden은 침례교의 기본 원칙들을 네 가지로 요약했다. Bible freedom (성서의 자유), soul freedom (영혼의 자유), church freedom (교회의 자유), religious freedom (종교의 자유). 이 네 가지를 간단히 설명드리면 이렇다. 성서의 자유는 누구든지 성서를 스스로 해석할 자유가 있다는 것이다. 가톨릭에서는 신부나 교회가 해석해주는 것만 받아들여야 한다고 가르치는데, 이 성서의 자유의 원칙은 글자를 아는 사람이면 누구나 스스로 성경을 읽고 해석할 권리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Bible freedom (성서의 자유)이다. 둘째로 영혼의 자유는, 예수를 구세주로 믿게 되는 것은 부모의 압력이나 사회의 명령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개인적인 결단을 통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교회의 자유는, 개체 교회는 예배나, 교회조직이나, 목회자를 세우는 문제 등 각종 사안에서 교단이나 외부의 압력을 받아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각 교회가 자유로이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교회의 자유이다. (그래서 침례교는 아주 다양하다. 너무 다양해서 극보수에서 극자유주의까지 있다.) 네 번째 원리는 종교의 자유이다. 개인이 자신의 종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정교분리의 원칙에 따라, 나라가 어느 특정 종교를 support하거나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이 네 가지 자유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어떻게 되는가? 그것은 믿음과 구원의 문제에 있어서, 개인이 절대적 자유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것이다. 교회나 전통이나 부모나 국가가 절대 이 문제에 관여해서는 안 되고, 개인이 그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오늘 로마서에서 읽으신 본문이 이런 입장을 지지한다. “우리가 살아도 주를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를 위하여 죽나니, 그러므로 사나 죽으나 우리가 주의 것이로라.... 그런데 네가 어찌하여 네 형제를 판단하느뇨? 어찌하여 네 형제를 업신여기느뇨? 우리가 다 각자 하나님의 심판대 앞에 서리라. 기록되었으되, 주께서 가라사대 ‘내가 살았노니, 모든 무릎이 내게 꿇을 것이요, 모든 혀가 하나님께 자백하리라’ 하였느니라. 이러므로 우리 각인이 자기 일을 하나님께 직접 고하리라.”침례교 전통에서는 집단구원이란 것은 없다. 누군가 구원받는다면, 그는 개인적으로 구원받는 것이지, 누구와 함께 구원받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우리는 자신의 믿음으로만 구원받는 것이지, 훌륭한 부모나 친구나 교회 때문에 구원받는 법은 없다는 것이다. 이렇게 개인적인 요소가 중요하기에, 부모는 당연히 자녀가 스스로 예수님을 만나고 스스로 그분을 따르는 결단을 하도록 최선을 다해 도와야 하는 것이고, 친구는 당연히 다른 친구가 스스로 주님을 믿고 받아들이도록 계속 독려해야 하는 것이다. 이점이 우리가 침례교인들에게서 배워야 할 점이다. 오늘 우리는 침례교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침례교에서는 성경에 대한 남다른 열정이 있으며, 구원에 관한한 간단하고 분명한 메시지를 가지고 있으며, 개인의 신앙고백과 결단을 중요시한다는 것을 배웠다. 이 세 가지 특징들을 여러분의 삶에서 본받음으로, 보다 나은, 보다 확신있는 신앙인들이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드린다.
    Read More
  • 35
    Christian Denominations 3: Presbyterian Church Publish on February 20,2011홍삼열
    Presbyterian Church (Romans 8:28-30)   Today we continue the denominations of Christianity series. For the last two Sundays, we considered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Lutheran Church as the first Protestant denomination. Today we will consider the Presbyterian Church, the church that follows the lead of John Calvin.   First let us consider the word presbyterian. This word presbyterian came from the Greek word presbuteros (πρεσβύτερος), which means “elder.” In the early church, the office of elder and the office of bishop were identical and weren’t differentiated until later. The fact that the early church operated based on the plurality of elders or bishops is the basis upon which the Presbyterian Church has developed its distinctive system of church government, i.e., the elder system, as opposed to the bishop system of the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is Presbyterian form of government, elders are chosen by the people and ordained for special services. One interesting fact about this system is that not only pastors but also lay people are elected and ordained as elders. So in the Presbyterian Church, we see two kinds of elders: 1) teaching elders who are the ministers of the Word and Sacrament, and 2) ruling elders who representing the laity of a local church, exercise leadership, government, and discipline, and have responsibilities for the life of the church.   Now let us talk about Calvin, the founder of the Presbyterian tradition. Like the case of Luther who began the Lutheran Church, Calvin was the one who provided the specific DNA for the Presbyterian Church. It is quite interesting to compare Calvin and Luther, because their differences determined in considerable part the future differences that would exist between the Lutheran Church and the Presbyterian Church. To speak of Luther, the best description of him would be that he was a first generation reformer. He started new things when such things were non-existent. He boldly changed some Catholic practices when the majority of Christians saw no problems in them. And of course, creating this kind of new culture required a strong character, and in Luther’s case, the character of an effective demagogue. His words were straightforward and inflammatory. People who read or listened to him were almost forced into agreeing with him and following his reform movement, or they were angered in such a way to attack him back.   But Calvin, a second generation reformer, had a different character. As a humanist scholar himself, he always valued reason and common sense. His strength was to think clearly and to arrange the new Protestant thoughts and practices in such a way to create a complete theological system. One good example was his master piece,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This book was written when he was 26 years old and included all possible aspects of the Protestant theology. And due to its coherent and complete nature, it has become the authority for all Presbyterian and Reformed churches.   Another important thing about Calvin is that Calvin’s reform program far exceeded Luther’s. From the perspective of Calvin, Luther’s program was incomplete for he was seen not progressive enough. Of course, when Luther started his reform movement, it was already a great novelty in the Catholic Church because nobody had seen or experienced what Luther was doing. So it would be too harsh or even anachronistic for later people to say that Luther should have gone farther. But that was what the second generation reformers felt anyway about Luther. They felt that Luther was too conservative, that he compromised on so many things against his original spirit of reformation. The case in point was the use of an organ. Luther’s position was that if any aspect of church practice did not contradict the scriptures, we should value tradition and continue to use it, and so he continued to use organs in his churches. But Calvin and other reformers did not agree. Since they believed that they should reject any Catholic tradition not explicitly commanded in the Bible—and of course there is no mention of an organ in the Bible—they banned it from their churches. This is how Lutheran churches came to preserve more of a Catholic “look and feel” while their Presbyterian counterparts became quite different from the Catholic Church.   So this is a chart explaining the Presbyterian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byterian tradition, Luther started very well; he was on the right track in the beginning but did not go far enough. So here in this chart, the Lutheran Church is described as being a little bit out of track. It is the Reformed or Presbyterian Church that has corrected this error and put the reformation program back on track.   Now let us consider the distinctive marks of Presbyterianism. If someone asks me what distinguishes the Presbyterian Church from others, I would say these two things. First is the elder system, which we’ve already discussed above. The highest administrative authority resides in the council of elders, both preaching elders and ruling elders. The second is their Reformed theology which is conveniently summarized with the acronym TULIP. Let me explain this.   T stands for total depravity. This doctrine asserts that, as a consequence of the fall of Adam and Eve, every person born into the world is totally corrupt and enslaved to the service of sin. Thus, all people by their own abilities are morally unable to choose to follow God and be saved. The only hope for them would be a help coming from outside, that is, the free grace of God. Then we may want to ask this question: “If every person is totally corrupt and thus unable to choose to follow God, then how can we be saved?”   This question leads to the next letter of the acronym U, which stands for unconditional election or predestination. According to this doctrine, God chooses people to be saved not because He sees some excellent qualities in them. Rather, He chooses them because of His mysterious will for them regardless of their good faith or behavior. In fact, the decision about salvation is made even before their birth, even before the creation of the world. So there’s nothing that man can change about this decisi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elect and the non-elect are not in themselves but in God’s divine will, and this is why election is called unconditional.   The next letter in the acronym is L, limited atonement, which means that Jesus died only for the elect. This doctrine is driven by the concept of the sovereignty of God in salvation. If God is all powerful and He knows everything, especially who will be saved and who will not, then it doesn’t make any sense that Christ should die for those who will not be saved. If the price has to be paid for the sins of those in hell, it should be paid by themselves, not by Christ.   The fourth letter in the acronym is I, and it stands for irresistible grace. This doctrine asserts that when God gives His grace to someone and wills to save him, this individual cannot resist it but has to accept it so that he may finally be saved. But this does not mean that every influence of God’s Holy Spirit cannot be resisted. Yes, it can often be resisted. But ultimately, the Holy Spirit is able to overcome all resistance and make the elect saved. This is what they mean by irresistible grace.   The final letter in the acronym is P, which stands for perseverance of the saints. This doctrine teaches that once a person has been elected to be saved by God, he is eternally secure, that is, he cannot lose his salvation. For God will continue to give him a special grace that will sustain his faith until the end. Then how should we understand those who first believed and then apparently fell away from faith? According to Calvin, they either never had true faith to begin with, or will return before they die.   Now what is the Methodist position about these five points of Presbyterianism? We Methodists only partially agree with them. We agree that every human being is too corrupt to achieve salvation of their own. Without the grace of God, salvation is impossibility for us. But we do not agree that human beings are totally corrupt, that our ability to seek God is totally shattered. Instead, we believe that in spite of the fall of Adam, God still preserved in us an ability to respond to His grace. To use the expression of John Wesley, we have the prevenient grace with us, the grace that comes before us to make us prepared and receptive to a further grace of God. So we have the free will to respond to God’s grace. If we accept this grace and believe in Jesus Christ, then we are saved. If we resist the grace, then we are not saved. So as opposed to the Presbyterian doctrines of irresistible grace and unconditional election, we say we are responsible for our own salvation: it is we who should accept the offer of salvation; it is we who should believe in Jesus Christ to be saved.   Again concerning the concepts of limited atonement and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we Methodists have a different opinion. We believe that Jesus died literally for all people as 1 Timothy 2:4 says “God wants all people to be saved and to come to a knowledge of the truth,” and 2 Cor. 5:15, “He died for all, that those who live should no longer live for themselves but for him who died for them and was raised again.” We also believe that any believer, if he does not continue to strive to follow Jesus, could fall out of salvation. That is the case of those who made spiritual shipwreck in 1 Timothy 1:19, “Hold on to faith and a good conscience. Some have rejected these and so have shipwrecked their faith,” or the case of those branches cut off from the Olive Tree in Romans 11:20-21, “Do not be arrogant but be afraid. For if God did not spare the natural branches, he will not spare you either.”   In this way, we do not agree with our Presbyterian friends. Especially we do not accept their doctrine of unconditional election or predestination. If by that doctrine they simply mean that God foreknows who will be saved and who will not, we can gladly accept that. But if they mean that God predetermines some people for eternal salvation and others for eternal damnation regardless of their faith, we cannot accept that. For if that is true, why evangelize? Why make an extra effort to live a holy life?   But please don’t get me wrong here. By saying this, I do not mean that what they believe is false. Rather, I would say that what they believe is as true as what we believe, because the Bible supports not only our Methodist position but the Presbyterian position too. As much as we can quote from the scriptures to support our position, they can do the same to support theirs. One good example is the scripture reading for today, Romans 8:28-30, “We know that all things work together for good for those who love God, who are called according to his purpose. For those whom he foreknew he also predestined to be conformed to the image of his Son, in order that he might be the firstborn within a large family. And those whom he predestined he also called; and those whom he called he also justified; and those whom he justified he also glorified.”   If the Presbyterian position is as true as ours, then how should we understand this difference and at the same time hold the integrity of the Bible? I think part of this difficulty originates in our fundamental limitation as created beings. As such, we have only a limited capacity to know the truth, and so one person or one party cannot simply say, “We know the Bible completely. We have the whole truth. But you don’t!” Rather I believe we need to take a humble attitude as Paul confessed in 1 Cor. 13:12, “Now we see but a poor reflection as in a mirror, but then we will see face to face. Now I know only in part, but then I will know fully.”   Now to better understand the Presbyterian position and learn from our friends in that tradition, we need to turn our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 sovereignty of God. The confession that God is the sovereign of all is the basis for all Presbyterian theology. For it is the confession that God is the king of our lives, that God takes care of all things that happen to us. Especially in relation to our salvation, it is the confession that salvation is not our own achievement but only the grace of God.   But sometime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sovereignty of God because we see so many evil things happening in this world, like the indiscriminate killings in Africa, many children being kidnapped and raped in this country, huge tsunamis devastating many coastal cities, etc. When these things happen, we doubt the sovereignty of God; we question if God is really in control. But in spite of such doubt—this may be the necessary, inescapable result of our limitation as human beings—there is one thing that we can be absolutely sure about, which is the redemptive aspect of the sovereignty of God, in other words, that nothing is beyond the redemptive power of God. By faith we know that whatever happens to us, it is never outside the power of God to use it for His good purpose and for our own benefit. God is so powerful and so sovereign that he can include even many evil things in his work of salvation. This is the sovereignty of God we confess and believe. And so let us trust God in all circumstances. Let us have assurance of this great power of God, the power that can use and change even the worst situations for His glory and for our own benefit.
    Read More
  • 34
    기독교 교단설교 3: 장로교회 Publish on February 20,2011홍삼열
    "장로교회(Presbyterian Church)" (로마서 8:28-30)우리는 지난 두 주간에 걸쳐서 가톨릭교회와 루터교회의 교리와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오늘은 기독교 교단 시리즈의 세 번째 시간으로 장로교회에 대해서 살펴보는 시간을 갖겠다.우선 장로교회의 “장로”라는 단어를 주목해 보자. 장로라는 단어는 그리스어로 presbuteros, 영어로 presbyter인데, 그 뜻은 "나이 많은 지도자," 즉 "원로"라는 뜻이다. 초대교회에는 세 가지 교회의 직분이 있었는데, 그것이 감독(가톨릭식으로 하면 주교)과 장로와 집사이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아는 바는, 집사의 역할은 감독과 장로를 보좌하는 것이고, 장로의 역할은 감독을 보좌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시 역사를 읽어보면, 2세기까지는 장로의 직과 감독의 직이 서로 구분되지 않았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한 교회에 장로 없이 감독의 이름을 가진 여러 명의 목회자가 있기도 하고, 장로의 이름을 가진 한 사람이 주변의 여러 교회를 관할하기도 하였다. 그러다가 3세기부터 한 교회에는 감독이 한 명 있고, 그 밑에 여러 명의 장로들과 집사들이 있는 형태가 정착이 되었다. 이런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여, 즉 교회의 초기에는 감독과 장로의 직이 구분이 없었다는 사실에 기초하여, 장로교회에서는 감독을 중심으로 하는 가톨릭의 교직제도에 반대하여, 다수의 장로가 함께 교회를 치리하는 제도를 구상하였다. 그것이 장로교회이다. 장로교회에서는 감독제도를 따르지 않기 때문에 목회자는 감독이 선별해서 안수하는 것이 아니라, 교인들이 자기들 중에 장로를 선출하여 안수받게 한다. 우리가 여기서 주목해야 할 점은 장로교회에는 두 종류의 장로가 있다는 사실이다. 첫째는, 가르치는 장로이다. 현재 장로교의 목회자들이 이에 해당하는데, 이들이 하는 일은 말씀을 가르치고 성례를 행하는 것이다. 둘째로 치리장로가 있는데, 이들은 교회에서 교인들을 대표하여 교회 행정이나 치리를 담당하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장로교회에서 당회 하면, 목회를 하는 장로 즉 담임목사와 치리를 하는 평신도 장로들로 구성되는 것이다.그 다음 우리들이 살펴볼 것은 칼빈이라는 인물이다. 칼빈은 장로교 전통의 창시자로, 장로교회 혹은 개혁교회의 DNA를 결정한 장본인이다. 칼빈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칼빈을 루터와 비교해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루터를 특징짓는 가장 대표적인 표현은, 루터는 제 1세대 개척자라는 것이다. 루터는 그야말로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 사람이다. 물론 이런 일을 하기 위해서는 아주 강한 성격이 필요한데, 루터는 성격이 강한 선동가적 기질을 가지고 있다. 말도 거칠고 감정도 풍부해서, 그의 설교를 듣거나 글을 읽는 사람은 그의 개혁정신에 열렬히 찬동하거나, 아니면 그의 직선적인 어투에 극도의 거부감을 느껴서 그의 반대자가 된다. 이에 비해 칼빈은 제 2세대 개혁가로서 완전히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그는 인문학 공부를 많이 한 사람으로서 언제나 상식과 이성을 존중한다. 그래서 그의 강점은 명확한 논리로 전체 개혁정신을 정리해서 완전한 시스템으로 만드는 것이다. 좋은 예가 그의 대표작 [기독교강요]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이다. 이 책은 그가 26살 때 쓴 책으로 개신교신학을 총정리한 것인데, 이것이 너무나 논리정연하고 포괄적이어서, 후에 모든 장로교회와 개혁교회의 기본 교과서로 사용되었다. 또 한 가지 칼빈의 특징을 들라 하면, 칼빈은 루터의 개혁을 훨씬 뛰어넘은 사람이라는 점이다. 칼빈은 루터가 충분히 진보적이지 못해서 미완성의 상태에 머물렀다고 생각하며, 루터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루터가 미처 시행하지 못한 것들을 과감하게 시행한 사람이다. 물론 루터가 맨 처음 개혁운동을 시작했을 때, 그는 가톨릭교회에서 가장 과격한 진보주의자로 낙인찍혔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그때까지 루터가 주장하거나 시행하는 것 같은 것들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후대사람이 루터가 더 철저한 개혁을 시도했어야 했다고 판단하는 것은 공정하지 못한 평가가 된다. 그러나 어쨌든 한창 종교개혁이 성공을 이루어갈 때 활동하기 시작한 제 2세대 개혁가들의 눈에는, 루터는 개혁가로서 너무 보수적이라고 보였다. 그들은 루터가 원래의 개혁정신을 원칙대로 밀어붙이지 못하고 중간에 많이 벗어났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예를 들어 오르간 사용의 문제에 대해서, 루터는 교회의 관습 중 어떤 것이 성경에 명확히 금지되어 있지 않다면, 전통의 가치를 존중하는 차원에서 그것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 옳다는 입장이었다. (즉 성경에 하지 말라고 한 구절이 없으면 해도 된다는 입장이었다.) 그래서 루터교회에서는 오르간이 계속 사용되었다. 그러나 칼빈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는 성경에서 하라고 명령하지 않은 것들은 하지 말아야 하고, 그런 것들은 모두 폐지시켜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장로교회에서는 모든 오르간을 없애버렸다. (성경에는 오르간에 대한 이야기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이런 차이점 때문에 우리는 루터교회에 들어가 예배를 드리면 가톨릭적인 분위기를 많이 느낄 수 있어도, 장로교회에서는 전혀 그런 분위기를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이것이 장로교의 역사관을 보여주는 도표이다. 이 도표에 의하면, 루터는 처음에 제대로 출발했는데 개혁운동을 끝까지 밀고 나가지 못해서 나중에 약간 길을 잘못 들었고, 그 때 장로교회가 나타나서 이 잘못을 바로잡고 종교개혁 운동을 원래의 괘도로 돌아가게 했다는 것이다. 자 이제 장로교회의 특징들을 검토해보자. 여러분이 저에게 장로교의 특징이 무엇이냐고 물으신다면, 저는 세 가지를 말씀드릴 수 있다. 첫째는 장로제도이다. 제가 이미 설명드린 대로, 장로교회는 장로들이 중심이 된 교회이고, “장로회의” 즉 가르치는 장로와 치리장로들로 구성된 당회가 최고의 권위를 발휘하는 제도이다. 둘째로 말씀드릴 것은 장로교의 독특한 신학이다. 보통 다섯 가지 교리의 첫 글자를 따서 TULIP이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두 번째 장로교의 특징이다. 셋째는 하나님의 주권의 개념이다. 장로교의 다섯 가지 중심교리가 생기게 된 논리적 기초가 하나님은 절대 주권자라는 믿음이다. 첫째 특징은 이미 살펴보았으니, 둘째 특징을 살펴보자.T는 total depravity (전적인 타락)이다. 모든 인간은 아담과 이브가 선악과를 따먹었을 때 완전히 100% 타락하였고 죄에게 완전히 종이 되어서, 사람에게는 하나님을 찾을 수 있는 능력이 아무 것도 남아있지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능력으로는 절대 선을 선택할 수 없고, 그러니 자연히 구원을 얻을 수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이런 질문을 하게 된다. "사람의 일부가 아닌 전체가 타락해서 스스로 하나님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면, 그러면 우리는 어떻게 구원받게 되는가?"Tulip의 두 번째 글자인 U가 이것을 설명해 주는데, 이는 unconditional election (무조건적인 선택 혹은 예정)이라는 교리이다. 이 교리에 의하면, 하나님은 어떤 사람이 선하기 때문에 그를 구원하기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믿음이나 선행과는 상관없이 하나님 혼자의 비밀스런 계획 때문에 그를 선택한다는 것이다. 사실 이런 선택은 그가 태어나기 전, 심지어 이 세상이 창조되기 전에 하나님이 결정한 사항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구원에 관한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무 것도 없는 것이 된다. 하나님이 혼자 결정하시고 혼자 구원시키신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선택은 무조건적이라고 하는 것이다.다음 글자는 L인데 limited atonement (제한적인 구속)이다. 이 교리가 뜻하는 것은, 예수님은 구원받을 사람만을 위해서 돌아가셨다는 것이다. 하나님이 누가 구원받을 것이고 누가 지옥 갈 것인지 미리 다 아신다면, 그리스도가 지옥 갈 사람들을 위해서도 죽으셔야 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옥 갈 것인지 미리 다 아는데, 왜 쓸데없이 예수님이 힘 낭비하느냐는 것이다. 만일 예수님이 어떤 사람을 위해 죽었다면, 예수님은 전능하신 하나님이시기 때문에 그 사람은 무조건 천국가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수님이 지옥 갈 사람을 위해 죽으시면 안 되는 것이다. *또 지옥에 떨어진 사람의 죄의 값이 치러져야 한다면, 그것은 죄를 지은 사람 당사자가 치러야 하는 것이지, 예수님이 치를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네 번째는 I, irresistible grace (불가항력적인 은총)이다. 하나님이 누군가에게 구원의 은총을 주시려 한다면, 그 사람은 절대 그것을 거부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는 그 은총을 무조건 받아들여야 하며 그 사람은 반드시 구원받는다는 것이다. 물론 이것은 사람이 성령의 역사를 전혀 거부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것이 의미하는 바는, 사람이 일시적으로는 성령을 거부할 수는 있어도, 궁극적으로는 성령이 모든 저항을 무력화시키고 마지막에 그 사람을 구원받게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거부 불가능한 은총의 개념이다.마지막 글자는 P, perseverance of the saints (성도의 견인)이다. 이 교리는 사람이 한번 구원받기로 선택되었다면, 하나님이 그 사람이 구원받는 마지막 순간까지 그를 보호하신다는 뜻이다. 한번 구원받은 사람은 절대로 구원을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러면 예수 잘 믿다가 타락하는 사람의 경우는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칼빈에 의하면, 그런 사람은 원래 지옥가기로 예정되어 있는 사람이거나, 믿음이 있는 것같이 보였지만 실제로는 구원받을 만한 믿음이 전혀 없었던 사람인 것이다. 만일 그에게 진짜 믿음이 있었다면 그는 죽기 전에 반드시 하나님께로 돌아온다는 것이다. 이것이 성도의 견인의 교리이다. 이런 장로교의 5가지 기본 교리에 대해, 우리 감리교는 어떤 입장을 취하는가? 우리 감리교회는 이 교리에 부분적으로만 동의한다. 모든 사람은 너무 심하게 타락해서 스스로 구원을 성취할 수 없고, 하나님의 은총이 아니면 절대 구원받지 못한다는 데는 100% 동의한다. 그러나 인간이 전적으로 타락했다는 교리, 즉 인간이 100% 타락해서 우리 마음에 하나님을 찾을 능력이 완전히 없어져버렸다는 데에는 동의하지 않는다. 감리교가 가르치는 것은, 아담의 타락에도 불구하고, 우리 마음속에는 하나님의 은총에 응답하는 뭔가가 아직 남아있다는 것이다.감리교를 시작한 요한 웨슬레의 표현을 사용하자면, 하나님은 선재은총/선행은총(prevenient grace)을 통해 우리보다 앞서 가셔서 우리의 마음을 준비시켜주신다는 것이다. 즉 하나님은 우리에게 예비은총을 주셔서, 나중에 예수를 통한 본격적인 구원의 부르심에 응답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부여하신다는 것이다. 이 선재은총의 결과로 생기는 것이 대표적으로 자유의지인데, 이것을 통해 우리는 선을 택할 수도 있고 악을 택할 수 있는 능력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래서 감리교에서 말하는 구원의 과정은 이렇게 된다. 우선 하나님은 우리에게 선재은총으로 자유의지를 주시고, 그러면 우리에게는 하나님께 응답할 수 있는 기본능력이 생긴다. 예수님을 통한 구원의 말씀이 선포될 때 우리가 이 자유의지로써 그 말씀을 받아들이면, 하나님은 우리에게 그 다음 구원의 은총을 주셔서 우리가 구원받게 하시지만, 우리가 그 말씀을 거부하면 구원의 은총을 주시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예수를 믿지 않는다면 그건 그 사람 책임이지 미리 그렇게 되도록 예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감리교회에서는 장로교의 무조건적인 선택과 불가항력적인 은총의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또 한 가지 중요한 차이점은 감리교는 장로교의 제한적 구속과 성도의 견인의 교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 감리교는 예수님은 구원받을 사람만 아니라 모든 사람을 위해 십자가를 지셨다고 믿는다. 디모데전서 2:4,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을 받으며 진리를 아는데 이르기를 원하시느니라." 고린도후서 5:15, "저가 모든 사람을 위하여 죽으심은 산 자들로 하여금 다시는 저희 자신을 위하여 살지 않고 오직 저희를 위해 죽었다가 다시 사신 자를 위하여 살게 하려 함이니라." 또한 우리 감리교회는 우리가 믿음을 가진 후에 예수님을 따르기 위해 계속 노력하지 않으면 구원에서 떨어져나갈 수 있다고 믿는다. 즉 장로교의 견인의 은총의 개념을 거부한다. 디모데전서 1:19절은 이렇게 중도에 구원을 잃는 사람들을 가리켜서 "믿음에 파선한 사람들"로 부르고 있다. "믿음과 착한 양심을 가지라. 어떤 이들이 이 양심을 버렸고 그 믿음에 관하여는 파선하였느니라." 즉 믿음이라는 배가 쪼개져서 구원의 생명을 잃었다는 것이다. 또 로마서 11:20-21절에는 뭐라고 말씀하는가? 올리브 나무에 붙어있는 가지도 노력하지 않으면 잘린다고 하지 않았는가? "옳도다. 그 가지들이 잘린 것은 그들이 믿지 않은 탓이고, 너희가 그 자리에 붙어 있는 것은 믿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교만한 마음을 품지 말고, 도리어 두려워하라. 하나님께서 본래의 가지들을 아끼지 않으셨으니, 접붙은 가지도 아끼지 않으실 것이다." 이런 식으로 우리는 장로교의 예정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만일 예정론의 의미가, 하나님이 누가 구원받을 건지 누가 지옥 갈 건지 미리 아시는 것만을 의미한다면, 우리는 이것을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다.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아시는 전지전능하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예정론의 의미가, 하나님은 어떤 사람은 구원받도록 미리 결정하시고 어떤 사람은 지옥에 가도록 미리 결정하시는 것을 의미한다면, 그리고 그런 결정이 그 사람의 믿음과는 전혀 상관없이 하나님 혼자서 결정하시는 것이라면, 우리는 그것을 받아들일 수가 없다. 그것이 사실이라면, 우리는 왜 전도하는가? 왜 예수를 믿고 영접하라고 권고하는가? 왜 사람들에게 구원에 합당한 열매를 맺으라고 가르치는가?그러나 제가 이렇게 말씀드린다고 해서, 장로교인들이 믿는 것이 틀렸다는 것은 아니다. 제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것은 우리의 의견이 옳은 만큼 장로교인들의 의견도 옳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성경에는 우리 감리교 교리를 지지하는 구절들뿐만 아니라 장로교 교리를 지지하는 구절들도 많이 있기 때문이다. 좋은 예가 오늘 성경본문이다. 로마서 8:28-30절이다. 쉬운 한국말 번역으로 읽어드리면 이렇다. "우리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들, 곧 하나님의 뜻대로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에게는, 모든 일이 서로 협력해서 선을 이룬다는 것을 압니다. 하나님께서는 전부터 아셨던 사람들을 그분의 아들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예정하시고, 하나님의 아들을 많은 형제들 중에서 맏아들이 되게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는 미리 예정하신 사람들을 부르셨고, 부르신 사람들을 의롭다고 하셨고, 의롭다고 하신 사람들을 영화롭게 하셨습니다." 이 구절에 장로교의 중심 교리가 들어가 있는데, 하나님이 예정하신 사람은 반드시 예수 믿도록 부르시고, 그렇게 부르신 후에는 그를 의롭다고 인정하시고, 의롭다고 인정하신 후에는 영화롭게 되기까지 그를 이끄신다는 것이다. 이것이 장로교에서 말하는 예정론과 성도의 견인의 교리이다.이렇게 장로교의 교리도 감리교의 교리와 마찬가지로 똑같이 성경에 기초하고 있는 것이라면, 우리는 이 교리의 차이를 어떻게 설명해야 하며, 또 어떻게 성경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을까? 저는 인간의 제한성에서 그 해답을 찾고 싶다. 우리는 절대 하나님의 세계를 다 이해할 수 없는 존재들이다. 한 가지 논리로 하나님의 진리를 다 설명하는 것이 애초에 우리 인간에게는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우리는 우리와 다르게 믿는 사람들에게 "나는 성경을 완전히 꿰뚫고 있고, 너는 그렇지 못해! 나는 진리의 전체를 알고 있지만 너는 부분만 일고 있어!" 이런 식으로 말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우리는 이 문제에 대하여, 바울의 겸손한 태도를 배울 필요가 있다. 바울은 사랑의 신비를 한참 설명하고 나서 고린도전서 13:12절에서 이렇게 고백했다. "우리가 이제는 거울로 보는 것 같이 희미하나 그 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대하여 볼 것이요, 이제는 내가 부분적으로 아나 그 때에는 주께서 나를 아신 것 같이 내가 온전히 알리라." 다시 말해서, 우리가 천국에 올라가서 온전한 지식을 얻기까지, 즉 우리가 이 세상에서 사는 동안에는, 희미하게만 보는 수준이라는 것을 겸손하게 인정해야 한다는 말이다.이제 마지막으로 우리가 장로교 전통에서 배울 점을 생각해보기를 원하는데, 그것은 장로교회에서는 하나님의 절대 주권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것이다. 위에서 우리가 장로교에서 가르치는 5가지 중심교리를 살펴보았는데, 사실 이런 교리들이 생겨나게 된 근원이 바로 이 믿음, 즉 “하나님은 절대 주권자이시다”는 믿음에 근거한 것이다. 우리가 하나님은 만물을 창조하시고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이라고 믿는다면, 구원의 문제에 관한 한, 구원은 절대 우리의 능력으로 성취되는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이라고 해야 되지 않을까? 인간이 아무리 자유의지를 사용하여 열심히 노력을 해도, 결국 모든 것이 하나님의 큰 계획안에서 움직인다고 말해야 되지 않겠는가? 현재 이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생각해 볼 때, 우리는 낙담하고 실망할 때가 많이 있다. 도처에서 지진과 홍수가 일어나고, 독재자의 탐욕으로 무고한 사람들이 잔인하게 죽음을 당하고, 경제가 급격하게 나빠져서 온갖 가정문제, 사회문제가 발생하고, 개인적으로 볼 때도, 그렇게 믿음대로 살려고 노력하는데 인생의 어려움들이 끊이지 않는 것을 볼 때, 과연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관하시는 분인지, 하나님의 주권에 대해 의심이 들 때가 있다. 그럴 때 우리는 장로교에서 가르치는 하나님의 절대주권의 교리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하나님은 만물을 창조하시고 역사를 주관하시는 분이라고 우리가 확실히 믿는다면, 아무리 우리에게 어려운 상황이 벌어져도, 우리는 절대 하나님의 사랑의 손길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믿을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로마서 8:28절의 말씀은 우리에게 큰 힘이 된다. "우리가 알거니와, 하나님을 사랑하는 자 곧 그 뜻대로 부르심을 입은 자들에게는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여러분, 이 말씀을 믿는가? 하나님께서 선택하신 사람은 어떤 절망의 상황을 만나도, 그것 때문에 해를 당하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유익을 얻게 된다는 것을 믿는가? 하나님은 나의 주권자가 되시기 때문에, 하나님은 내 삶에 있는 어떤 비극적인 요소도 선하게 사용하실 수 있는 분이라는 것을 믿는가? 이런 믿음이 있을 때, 우리는 절망하지 않고 계속 믿음을 지키며 인내할 수 있는 것이다. 아니 인내하는 수준을 넘어서, 결국 하나님께서 우리를 구원하시고 우리를 영화롭게 하실 것을 바라보며, 믿음으로 기뻐할 수 있는 것이다. 모두 그런 믿음을 소유하셔서, 마지막 구원을 이룰 때까지 계속 신앙에 흔들리지 않는 주님의 자녀들이 되시기를 바란다.
    Read More
  • 33
    Christian Denominations 2: Lutheran Church Publish on February 16,2011홍삼열
    Lutheran Church (Romans 1:16-17)   Today is the second in the series of discussing different denominations of Christianity.   Last Sunday we paid our attention to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considered how they value rituals as basic rhythm of life, how they view Holy Communion as a major way of receiving God’s grace, and how they provide accountability through the Sacrament of Penance.  Today we will consider the Lutheran Church, the church that follows the lead of the first Protestant Reformer, Martin Luther. Today over 70 million Christians belong to Lutheran churches worldwide, and 8 million of these live in North America. Lutherans can be found on all the major continents and they are scattered throughout many countries. Only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have more professing members. This large number of Lutherans can partiall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in some European countries such as Norway, Sweden and Denmark, Lutheranism is the state religion.   In comparison with the Roman Catholic Church, the Lutheran Church provides a totally different viewpoint of church history. According to the Lutheran interpretation, both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the Orthodox Church went off track from the early church tradition, and this off-track status continued until when in the 16th century the great Reformer Luther came along, calling the church back to the apostolic faith.  The spiritual condition of the Catholic Church back then was so bad that Luther, a Catholic monk, felt a strong need to voice his concerns about this, and when he did that, he was silenced rather than heard, and when he continued to call for reform with a louder voice, he was threatened with excommunication and later with his own life. But he could not stop demanding the reform because he loved his church and he could not just see it further drifting away from the teaching of the Bible.   In terms of the starting date of the Reformation, we usually speak of October 31, 1517 when Luther posted his 95 Theses on the church door at Wittenberg. A familiar picture of this act of posting is that Luther openly and purposely hammers a nail onto the church door to initiate the Reformation, but this is not the real history. The real history is that Luther posted this material on the church door at night without any publicity, probably without a hammer and a nail. Some scholars even doubt that Luther really did post it on the door. For this act of posting was recorded only 29 years later by a later scholar Melanchthon. However, most of the Reformation scholars believe that Luther did really post this material on the church door, thereby opening up the floodgate of the Reformation. What we need to remember is that Luther did not ever imagine this could be the beginning of the Protestant Reformation. His motive of posting this material was nothing other than a scholarly debate among Wittenberg professors and divines, which explains why he wrote this in Latin. But someone got this material, translated it into German, handed it over to the press, and distributed without his knowledge or permission many copies of this all over Germany. It was this way against the intention of Luther that Reformation began.   The main argument of these 95 theses is that it is against the teaching of the Bible to say that time in purgatory could be reduced by making donations to the church. To understand this concept of purgatory and its relation to the selling of indulgence, we need to know the Penance system in the Catholic Church. As I explained it last Sunday, Penance involves these four steps: 1) contrition in which we feel sorry for our sins; 2) confession in which we admit our sins; 3) satisfaction in which we pay the price; and 4) absolution in which we hear the word of forgiveness from the priest. Among these four steps, indulgence is directly related to the third step, satisfaction, in which the repentant sinner is required to do some good work to pay for the temporal punishment of sin. Visiting relics, pilgrimages to holy places, the praying of the rosary and the purchasing of indulgences are all examples of satisfaction.   The immediate cause that prompted Luther to write his 95 Theses was a special jubilee indulgence instituted by Pope Leo X. The purpose of this indulgence was to build St. Peter’s Cathedral in Rome. Since an incredible amount of money was needed for this huge project, the Pope needed to have all Catholics all over the world contribute. For this purpose special preachers were selected and sent to main Catholic centers in Europe, and this caused a great problem in Germany where Luther was.  The indulgence that those travelling preachers were selling was a plenary indulgence, which meant that all sins and subsequent punishments needed would be forgiven to those who purchased them. What was wonderful about this indulgence was that it was effective for not only those living here but also those who are in purgator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purification.   Actual drafts of indulgence sermons from this time exist, and this is one example: “You should know: whoever has confessed and is contrite and put alms into this box will have all of his sins forgiven. So why are you standing about idly? Run, all of you, for the salvation of your souls. And do you not hear the voices of your dead parents and other people in purgatory, screaming and saying: ‘Have pity on me, have pity on me for the hand of God has touched me. We are suffering severe punishments and pain, from which you could rescue us with a few alms, if only you would.’ So open your ears, because the father is calling to the son and the mother to the daughter.” And what exasperated Luther most was this expression by Johann Tetzel who used little advertising jingles to encourage people to buy his indulgences: “As soon as the coin in the coffer rings, the soul from purgatory springs.”   When Luther heard about this selling of indulgence, he came to realize how bad theology it was based on, and in his 95 Theses, he questioned the basic Penance system of the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e Catholic theology, salvation requires merit, whether it is the merit of Jesus or the merit of the saints. Normal persons usually do not gather enough merit for themselves: they need more and so need a transfer of merit from someone else’s. But the saints gather more than what is needed for their own salvation, and this extra portion of merit does not disappear but is stored in the so-called “treasure of merit,” and the Pope, who is the guardian of the church, has the discretionary power to dispense it to whomever he thinks to be worthy to receive it. Indulgence is a way of dispensing this merit, and the Pope uses this as a way of doing his capital campaign for St. Peter’s Cathedral in Rome.   But according to Luther’s belief, this doctrine of indulgence is against the teaching of the Bible. Let alone the controversial issues like the existence of purgatory or the existence of the treasure of merit, Luther could not agree that we human beings could earn extra merit beyond what is necessary for salvation. For Romans 3:23-24 clearly says that “all have sinned and fall short of the glory of God, and are justified freely by his grace through the redemption that came by Christ Jesus,” and also Ephesians 2:8-9, “It is only by grace you have been saved, through faith—and this not from yourselves, it is the gift of God—not by works.”  If salvation comes only through God’s grace, and any person’s good performance is not enough for salvation, then isn’t it nonsense to think that someone could store extra merits in the treasure and a portion of it could be transferred to those purchasing indulgences?   Luther believed such a doctrine was totally wrong. For in the final analysis, salvation is not teamwork between us and God. It is not a matter of us doing our part and God doing His on equal terms. Rather, we are saved by God’s grace alone, not by our own good works.  This is the theology of grace Luther emphasized and is now accepted by all Lutherans with the name of sola gratia (grace alone). In addition, two other similar expressions are used to explain their distinctive theology, which are sola fide (faith alone) and sola scriptura (scripture alone).   Let me first explain sola fide.  Lutherans believe that we are forgiven and saved by faith alone. According to the Lutheran interpretation, Christians have been tempted to believe that faith in Jesus as Savior is not enough for salvation, and that something we do must be added to faith, for example, our love, our holiness, our victory over sin, etc. But the scripture clearly teaches that we are saved by faith alone, that is, we are saved through faith plus nothing. That is what Romans 3:28 attests: “We maintain that a person is justified by faith apart from observing the law.” And also what Romans 1:17 teaches: “In the gospel a righteousness from God is revealed, a righteousness that is by faith from first to last, just as it is written: ‘The righteous will live by faith.’”   Now we may wonder: then does this mean that we do not need to do good works? Does this mean that if we have faith in Jesus, we will be saved no matter how bad our life is? Of course not!  Lutherans say that they do value good works. They say that good works are the necessary evidence of real faith, but never the condition of faith. In other words, just as a good tree bears good fruit and not vice versa, a saved Christian naturally bears the fruit of the Holy Spirit. But good works never make one a saved Christian. Luther explains the relation between faith and good works in this way: “Faith is a living, busy, active, mighty thing, and it is impossible that it should not do good without ceasing; it does not ask whether good works are to be done, but before the question is put, it has done them already, and is always engaged in doing them; you may as well separate burning and shining from fire, as works from faith.” To summarize, Lutherans believe that we are saved by faith alone. And if we are saved, then we will naturally do good works just as a good tree will naturally bear good fruit. This is the Lutheran doctrine of sola fide, faith alone.   Now let us turn to the next doctrine of sola scriptura or scripture alone. Lutherans believe that all teaching that claims to be Christian is to be drawn from the Bible alone. For the Bible is the only source, the only authority, and the only judge of Christian teaching and practice. Then we may ask: why is the Bible such an authority? Lutherans answer:  it’s because the Bible is the inspired Word of God, not simply the word of man.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the Bible as the ultimate authority for Christian faith, Lutherans deny the validity of many Catholic doctrines and practices, such as the celibacy of the priest, the seven Sacraments, purgatory, the Infallibility of the Pope, the Assumption of Mary, etc.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tholic Church, however, this line of logic is defective, because the Bible did not appear suddenly in one point of history as a complete book. It was the Catholic Church between the first and the fourth century that selected the most authentic books out of many scriptures (there were lots of false scriptures back then) and combined them as one Bible. So it would not be correct to say that the final authority resides in scripture only; instead, one must say that the final authority resides in both scripture and the church.  Against this line of logic, Luther answers. Yes, it is correct that the church compiled the Bible and officialized it. But it is not true that the church made the Bible or that the Bible made the church. Instead, Jesus made both the church and the Bible. But since His Word is contained more in the Bible than in the church tradition, we should say that the Bible has more authority than the church. Therefore, the Bible has the final authority.   Another argument that the Catholic Church used against the concept of sola scriptura was the complex nature of the scripture and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t. According to the Catholic position, the scripture was formed in such a way that without a right doctrinal guide its readers would easily go astray and misunderstand it because the Bible is too deep for average people. And so without the priest’s help, lay people would be harmed rather than get benefit from reading the Bible. So for the Catholics, it is hard to accept the principle of sola scriptura.  But Luther could not agree with them, because the main purpose of the Bible is to give salvation to people and thus should not be difficult to read or understand. He believed that God designed the Bible in such a way that ordinary lay people could get a clear meaning of what they read and use it for their salvation and right living. Therefore, lay people should be allowed, even encouraged, to read the Bible for themselves because it is the ultimate authority for our Christian faith. This is the Lutheran principle of sola scriptura.   Now how do these three Lutheran principles, sola gratia, sola fide, and sola scriptura, relate to us Methodists? Since we are part of the Protestant movement, there is no doubt we accept the validity of those three principles. But as we will consider this issue later when we deal with the Methodist Church, we Methodists try to take a more balanced approach to this issue of faith and work. While we believe in the primacy of grace and faith over all things, we put an almost equal emphasis on work too. So we have two central pillars of Methodist theology, which are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or faith and work.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sola scriptura, we also take a balanced approach. Without ignoring the supremacy of scripture, we add three more principles, which are experience, reason, and tradition.   Today we have considered the case of the Lutheran Church. There may be some points in which we may disagree with them. But there is one thing that we cannot disagree about, which is their great dedication to the Word of God and their determination to live according to its teaching. There are many “authorities” around us demanding our attention and our obedience, authorities such as our old habit, peer pressure, common sense, family, friends, etc. In this situation, our Lutheran friends can teach us that no matter what disadvantages we may have, we need to uphold our sole authority, the Bible, and live according to its clear teaching about salvation, that is, we are saved by grace alone and faith alone. Amen.
    Read More

검색